
1. 수치지도 3d변환 후 선형작성하고 종단뷰에서 종단 데이터 추가할 때 밴드 스타일이 보이지 않습니다. 원래의 예제파일로 풀 때는 인강에서 말씀하신 밴드 테이블이 뜨는데, 수치지도로 풀 때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험에서는 밴드스타일이 인강에서처럼 목록에 뜨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종단 계획 작성 시 문제에서 주어진 계획 테이블에서는 마지막 값 6번이 2+790m까지인데 빨간색 종단 그래프가 거기서 딱 끝나야 하는 건지 아님 사진처럼 계획 선만 측점값에 맞추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실기 추가 공개문제 1-2에서 종단계획에 따른 txt파일로 적용해 작성하라고 돼 있는데 만약 파일의 측점길이보다 제가 그린 선형이 더 짧다면 길이가 해당되도록 시행착오를 겪어 선형을 다시 그려야 하는 겁니까? 인강에서 예제 문제 풀 때는 선형을 그냥 따라 그리면 돼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선형 지오메트릭 편집 도구 들어가도 매개변수 편집이 활성화돼있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4. 파일로 종단계획 작성하면 배치별 작성했던 것과는 달리 핑크색 보조 화살표 박스같은 거 없이 그냥 선만 뜹니다. 저렇게만 작성해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 코리더 영역 분할 후 단면 검토선을 작성하려고 하는데 범위 지정하는 곳이 비활성화 돼 있습니다. 찾아봤는데 TRUE를 FALSE로 고쳐서 수정하면 되는 것일까요?


그리고 수치지도로 실기 추가 공개문제 1-5번을 푸는데, 다중 횡단면뷰 작성 시 밴드 특성 설정에 하나의 목록만 뜨는데 맞게 푼 것인지 궁금합니다.
6. 여기서 말하는 xml파일은 시험 때 주어지는 파일인지 궁금합니다. dwg로 변환하라 했을 때 civil 3d에서 land XML 가져오기 하여 다른이름으로 저장만 하여 변환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러고 파일을 추가추가하여 나비스웍에서 진행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예제 파일로 변환, 추가하여 실습하려고 했으나 파일을 잘못 선택한 탓인지 추가해도 파일이 안보여서 어떤식으로 실습을 해야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7. 터널 재료 일람표 작성시 라이닝 측벽부는 목록에 없는데, 재료가 콘크리트가 아닌 것입니까? 아니면 따로 필터 설정하는 방법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