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채재현입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시험에서 제시된 Revit 카테고리 및 템플릿 조건이 있다면 반드시 그대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본 교재 및 강의에서 교량 패밀리는 아래와 같이 사용하였습니다.
- 상부콘크리트 : 구조프레임 템플릿
- 교각기둥 : 구조기둥 템플릿
- 교각코핑 : 구조프레임 템플릿
- 교각기초 : 구조기초 템플릿
- 교대본체 : 구조기둥 템플릿
- 교대기초 : 구조기초 템플릿
이렇게 교량 패밀리 템플릿을 사용한 기준은 두가지를 고려하여 선택하였습니다.
- 첫번째 : 구조 해석 관련 옵션
- 두번째 : 패밀리 카테고리
첫번째는 교량 모델을 구조 해석데이터와 연계할 수 있는 옵션을 알려주고자 구조기둥, 구조프레임 템플릿을 사용하였습니다. (교재 "제9편 교량모델 해석데이터와 연계" 참고)
두번째는 교량 부재의 라이브러리를 구조관련 카테고리를 활용하여 관리하려는 목적으로 구조 템플릿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이렇듯 BIM 구조 부재별 관리 차원에서 각각의 카테고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BIM 설계자가 교량 모델을 더 쉽게 관리하고 모델링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다른 패밀리 템플릿을 선택하여 활용도 가능합니다. 그래서 Revit으로 교량 모델링시 관리와 속성 지정이 가능하다면 일반모델 템플릿으로 활용해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만약, 실무 프로젝트에 적용하신다고 한다면 발주처 지침 내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발주처에서 부재별 카테고리 사용을 명확히 지침으로 요구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이는 Revit에 카테고리가 IFC Class하고도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발주처 지침에서 Revit 카테고리까지 구체적으로 지정한 내용은 보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요구가 없다면 일반모델을 쓰되, 재료나 속성 등의 매개변수도 잘 관리되도록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