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에서는 따로 참조평면을 그려서 기둥두께 900치수를 매개변수로 적용한 후 그리는것으로 설명을 하셨는데 큰 타원의 경우 이미 참조평면에 구속이 되어있기 때문에 길이와 폭을 조정하게 되면 안쪽 타원도 900치수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조정이 될 텐데 굳이 참조평면을 따로 그려서 4개의 기둥두께 치수를 그린 이유가 궁금합니다.
채재현 |(2025.08.10 02:02)
안녕하세요. 채재현입니다.
기둥 두께를 매개변수로 설정해 두면, 현재 900으로 지정된 값을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그래서 교재와 달리 강의에서는 기둥 두께 매개변수를 추가 하였습니다.
강의에서 큰 타원 참조평면 외에도 기둥 두께 매개변수를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참조평면을 추가하고 구속 조건을 설정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