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교재 실전모의고사 1회차 질문
01. 프로젝트 구축
1) 프로젝트 원점
-주석 탭의 지점정 좌표를 배치할 때 지시선 유무는 상관 없을까요? 또한, <가시성/그래픽> 들어가서 프로젝트 기준점을 다시 체크해제 해야 할까요? 만약에 그렇다면 지점정 좌표 사라짐의 문제가 있습니다.
02.건축 모델링
1) 시작파일
-1번에서 사용한 파일을 사용하라고 했는데 프로젝트 기준점은 가시성 체크 해제 해줘도는 되는지 궁금합니다.
2) RVT 링크 가져오기
-구조모델링 파일을 rvt링크 가져온 후, 레벨들 가시성 체크 해제 해주는 게 필수인지 궁금합니다.
3) 부재 범례
-실내-120mm 칸막이(미표기 실내 벽체)의 괄호 안의 의미와 유형 특성-기능:내부로 바꿔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커튼월 만들어 줄 때 수직 그리드에서 멀리언 크기 조정은 항상 체크 해제해줘야 하는지, 범례에서 따로 언급될 때만 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건축 재료 작성할 경우: 유형 특성-구조 편집-구조 재료 다 체크해제 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4) 커튼월 작성
-커튼월 만들 때 따로 범례에 주어지지 않아도 필수적으로 멀리언 크기조절 체크 해제 해줘야 할까요?
-도면에 상단간격 띄우기 값 안 나오는 것은 따로 설정 안 해줘도 되는지, 아니면 보의 하단 높이를 측정해서 따로 값을 입력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커튼월 그릴 때 따로 주어진 값이 없음에도 가로에 세그먼트 추가해주는 이유는 문 작성을 위해 세그먼트 삭제를 위해서인가요? 그러면 세그먼트를 추가하는 높이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을까요?
5) 건축 천장
-천장 만들 때 바닥 경계선 그대로 복사해서 만들어도 상관 없을까요?
03.도면작성하기
1) 뷰 생성
-작성조건의 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가시성/그래픽-revirt 링크 탭에 체크해주면 되는 건가요?
2) 룸 태그
-상한값, 한계 간격띄우기 해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상한값을 위 레벨으로 하라고 되어있는데 만약 현재 2층 도면에 작성을 하고 있다면 이를 옥상으로 해주면 되는 걸까요?
-건축 탭의 룸 태그를 이용해 룸을 만들어주는 걸까요? 또한, 기존에 있던 1층 평면도에서 룸을 만들어 준 후, 생성한 건축평면도 1층에서 주석 탭의 모든항목태그로 가져와주는 건지 궁금합니다.
-벽의 절단 패턴을 검정색 솔리드로 설정하라는 조건이 있는데, 답안 파일을 확인했을 때 가시성/그래픽 재지정-모델카테고리-벽-잘라내기/패턴을 변경해줬더라고요. 가시성/그래픽 재지정의 필터탭에서 지정해주는 것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3) 시트 작성
-건축평면도 1층, 2층을 1개의 시트에 작성하라고 했는데 번호 및 이름을 a-001 건축평면도 1층, a-002 건축평면도 2층으로 2개 준 이유가 있을까요? 답안 파일을 확인했을 때 a-001 건축평면도 시트밖에 없어서 조건이 잘못 된 건지 궁금합니다.
04.수량산출 및 시각화
1) 일람표 작성
-일람표를 만들 때 모양-데이터 앞에 빈 행 체크해제란 말 없으면 안 해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05. 나비스웍스 활용하기
1)항목 찾기 및 세트
-<항목을 찾습니다>에서 조건에서 제시한 벽을 찾아 <세트>에 저장하고, 항목도구 탭에서 색상 변경을 해주는 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단면뷰에서 모양 재정의를 체크해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관측점 업데이트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또한, 변경했을 때 이미 만들어진 뷰에서 모두 색이 변경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jpg 파일을 출력해도 되는 걸까요?
질문이 많아 정말 죄송합니다,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