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공개문제 1회 2. BIM 수량산출 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 BIM운용전문가 2급자격 > 채재현
글쓴이 김*우 등록일 2025.04.17 답변상태 답변완료
  •  

     

    질문 1)

    (4) 도로 코리더의 지표면은 "Datum 코드"로 작성

    →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지표면 생성이 완료된 것인가요?

     

    질문 2)

    (5) 토공량은 20m 측점으로 양단면 평균법으로 계산

    → 단면검토선의 간격을 20m로 하고 캡처한 바와 같이 토량 계산 방법을 "평균 끝 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맞을까요?

  • 채재현 |(2025.04.17 22:00)

    안녕하세요. 채재현입니다.

     

    답변 1.

    "6장 도로 횡단작성, 토공량 산출" 강좌에서 코리더 지표면 작성시 Top 코드를 이용하여 지표면 생성하는 방법을 강의하였습니다.

     

    횡단구성요소의 링크 코드는 윗쪽은 Top, 아랫쪽은 Datum으로 통일해서 설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드 Top을 선택하면 맨 윗쪽으로 지표면이 만들어 지고,

    그리고 코드 Datum을 선택하면 맨 아랫쪽으로 지표면이 만들어 집니다.

     

    참고로, 동영상 강좌에서 코리더 지형을 작성할 때 Top 코드를 사용하여 지표면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했었습니다. 이 방법을 응용하여 "Datum 코드"를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토공량 계산 시에는 Datum 링크를 적용하여 지표면을 산출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브레이크라인으로 추가’ 옵션은, 코리더 형산선(Feature Line)을 지표면의 브레이크라인으로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코리더 지표면을 보다 정확한 형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돌출부 교정’은 코리더 내에서 코드(특히 Datum, Top 등)가 겹칠 때, 겹치는 구간의 우선 적용 기준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통상적으로 토공량은 Datum 링크에 "돌출부-아래"를 적용하여 지표면을 산출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그리고 엔지니어 판단에 따라 돌출부를 무시하고 지표면을 생성하고자 할 때는 "돌출부-위"로 설정하여 활용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엔지니어가 설계 조건 및 환경을 고려해서 "돌출부-위/아래"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돌출부 교정-맨 아래 링크

     

    - 돌출부 교정-위 링크

     

     

     

    답변 2.

    '평균 끝 면적' 옵션이 '양단면 평균법'입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