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채재현입니다.
답변 1.
"6장 도로 횡단작성, 토공량 산출" 강좌에서 코리더 지표면 작성시 Top 코드를 이용하여 지표면 생성하는 방법을 강의하였습니다.
횡단구성요소의 링크 코드는 윗쪽은 Top, 아랫쪽은 Datum으로 통일해서 설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드 Top을 선택하면 맨 윗쪽으로 지표면이 만들어 지고,
그리고 코드 Datum을 선택하면 맨 아랫쪽으로 지표면이 만들어 집니다.
참고로, 동영상 강좌에서 코리더 지형을 작성할 때 Top 코드를 사용하여 지표면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했었습니다. 이 방법을 응용하여 "Datum 코드"를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토공량 계산 시에는 Datum 링크를 적용하여 지표면을 산출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브레이크라인으로 추가’ 옵션은, 코리더 형산선(Feature Line)을 지표면의 브레이크라인으로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코리더 지표면을 보다 정확한 형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돌출부 교정’은 코리더 내에서 코드(특히 Datum, Top 등)가 겹칠 때, 겹치는 구간의 우선 적용 기준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통상적으로 토공량은 Datum 링크에 "돌출부-아래"를 적용하여 지표면을 산출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그리고 엔지니어 판단에 따라 돌출부를 무시하고 지표면을 생성하고자 할 때는 "돌출부-위"로 설정하여 활용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엔지니어가 설계 조건 및 환경을 고려해서 "돌출부-위/아래"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돌출부 교정-맨 아래 링크

- 돌출부 교정-위 링크

답변 2.
'평균 끝 면적' 옵션이 '양단면 평균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