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채재현입니다.
“완화곡선값은 [R/3〈 A〈 R], 원곡선은 [R=800~1,200m] 범위 내에서 값을 적용” 이라는 의미는, 설계자가 먼저 원곡선 반경(R)을 800~1,200m 범위 내에서 정의한 후, 해당 R 값에 따라 완화곡선 길이(A)를 "R/3 < A < R" 범위 내에서 설정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R = 900m로 설정하면 → A 값은 300m < A < 900m
R = 1,000m로 설정하면 → A 값은 333.33m < A < 1,000m
R = 1,200m로 설정하면 → A 값은 400m < A < 1,200m
따라서, 먼저 R 값을 결정한 후, 해당 범위 내에서 적절한 A 값을 설정하여 적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선형이 제대로 안나오는것은 아마 Civil3D 템플릿이 적용이 안된듯 합니다.
교재에 Civil3D 템플릿 파일로 작업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교재의 예제파일은 "AutoCAD Civil 3D (Metric)_jhchae.dwt" 템플릿으로 작업된 데이터입니다.
Civil3D 템플릿 적용 및 지형데이터 오류 수정 내용 관련하여 아래 링크의 블로그 내용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cowogus77/223827745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