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 BIM운용전문가 2급자격 > 채재현
글쓴이 정*나영 등록일 2025.04.03 답변상태 답변완료
  • CIVIL 3D

    1. 코리더 지표면 작성 시 브레이크 라인으로 추가, 돌출부 교정이 무엇을 의미하나요? 어떤 기능인지 알고 싶습니다.

    2. 지표면 겹칩오류 시 지표면 특성 - 정의 - 브레이크 라인 추가 안함의 효과가 무엇인가요?

    3. 객체에서 선형작성과 선형작성도구로 선형 작성 시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4. 코리더 작성 시 대상 지표면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5. 정지작업 시 부지를 생성하여 포함시키는 의미가 정지하고자 하는 면을 넣고자 포함한다고 이해해도 되나요?(부지 내 단면검토선 작성 시 부지를 포함안시켜서 궁금했습니다.)

     

  • 채재현 |(2025.04.05 11:24)

    안녕하세요. 채재현입니다.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답변

    ‘브레이크라인으로 추가’ 옵션은, 코리더 형산선(Feature Line)을 지표면의 브레이크라인으로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코리더 지표면을 보다 정확한 형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돌출부 교정’은 코리더 내에서 코드(특히 Datum, Top 등)가 겹칠 때, 겹치는 구간의 우선 적용 기준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통상적으로 토공량은 Datum 링크에 "돌출부-아래"를 적용하여 지표면을 산출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그리고 엔지니어 판단에 따라 돌출부를 무시하고 지표면을 생성하고자 할 때는 "돌출부-위"로 설정하여 활용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엔지니어가 설계 조건 및 환경을 고려해서 "돌출부-위/아래"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돌출부 교정-맨 아래 링크

     

    - 돌출부 교정-위 링크

     

     

    2. 답변

    질문 내용이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 파악이 어렵습니다.

    지표면의 겹침 오류가 발생하면 그 겹쳐진 오류를 해결해야 합니다.

    [지표면 특성 - 정의 - 브레이크라인 추가 안함]을 어떤 내용을 말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오류 상황이나 작업 흐름을 조금 더 설명해 주시면 보다 정확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3. 답변

    객체에서 선형 작성 : 기존에 그려진 폴리선이나 라인 등의 CAD 객체를 선택하여 선형으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선형 작성 도구 : Civil 3D 전용 도구를 사용해 선형을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 등을 포함하여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결과적으로 모두 선형 객체가 만들어지는 점은 동일하며, 작업 방식이나 편의성 차이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4. 답변

    사면이 포함된 어셈블리를 사용할 경우, 사면이 닿는 대상 지표면(Target Surface)을 지정해야 사면이 어디까지 경사를 내려 연결될지를 인식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즉, 사면이 어디까지 연결될지를 알려주는 기준 지표면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5. 답변

    Civil 3D에서는 정지작업(Grading) 객체는 반드시 부지(Site)에 속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부지’에 포함된다는 것은, 정지 영역이 특정 부지 그룹 안에서 동작하도록 지정된다는 의미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