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5회 1번]
1.답변
정지작업에서 2D 횡단으로 절토, 성토의 토공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교재에서 지면 한계로 모두 수록하지 못했습니다.
정지작업 부지에 횡단을 표현할 임의의 선형을 생성하여 단면검토선으로 횡단을 표현하고 토공량을 산출하는 방법입니다.(굳이 코리더는 없어도 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동영상 강의 '24장 측량데이터, 형상선, 정지작업'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2. 답변
공개문제에서는 "토공량은 20m 측점으로 양단면 평균법으로 계산."으로 나와 있습니다.
단면검토선 생성하고 재표계산을 양단면 평균법으로 하셔야 합니다.
3.답변
아닙니다. 토량 자동 균형 조정하게 되면 정지작업 높이가 변경되어 토공량이 변경됩니다.
공개 문제에서는 계획된 지표면에 3D 토공량을 산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토량 대시보드에서 산출할 수 있습니다.
[5회 2번]
답변
Civil3D에서 횡단면도를 출력하는 방법관련하여, 아래 링크의 제 개인 블로그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cowogus77/222793917685
추가로 학습 자료실의 [토목 BIM전문가 2급 실기시험 공개문제 참고사항] 부분의 자료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의 학습 자료실은 한솔아카데미 로그인하면 접속할 수 있습니다.
https://bim.inup.co.kr/board/read.jsp?id=1067057&code=pds
자료실에서 제공하는 공개문제 가이드는 단지 참고자료일 뿐입니다.
실기시험과 관련해서는 시험에서 제시한 부분이 있다면 그대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실기시험 답안 작성 관련해서는, 시험에서 제시한 부분이 있다면 그대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시험에서 요구한 대로 진행하시기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