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 BIM운용전문가 2급자격 > 채재현
글쓴이 박*영 등록일 2022.11.2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강사님! 빠른답변 해주셔서 정말 감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질문드리겠습니다.

     

    1.종단밴드 만들때 종단1, 종단2의 지표면을 설정하는데 종단1과 종단2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종단선형, 성토고, 절토고의 지표면을 왜 다르게 설정해주어야 하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2.정지작업 토공량 산출
    정지면에 선형을 생성해 단면검토선을 작성해야한다고 하는데 선형을 작성한다는 것이 형상선인 사각형 폴리선을 선형으로 배치하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선형 작성할때 부지는 부지1으로 두고 작성해야할까요?

     

    3.완료된 샘플을 보았을때 첨부한 사진처럼 교량터널구간에 대한 표준횡단이 있는데. 코리더 영역을 분할할때 터널구간, 교량구간을 나누었을 뿐 저런 표준횡단을 만드는 것을 강의에서 본 기억이 없어서요. 제가 놓친것인지 꼭 필요한 부분인지 궁금합니다.

     

    4. civil 3D 2019를 사용하여 공부했습니다. 하지만 시험에서는 2022가 준비된다고 들었는데 큰 차이점이 없다면 그냥 똑같이 사용해도될지 아니면 2019 버전을 요청해야 할까요?

     

    5.모든 문항마다 BIM 원본모델을 제출하라고 하는데, 이 것이 작업 시작전 제공된 제가 일절 건드리지 않은 파일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추출된 성과물은 제가 문항에 맞게 작업한 파일이 맞는거 같은데 원본모델이라는 것이 불명확해서 질문드립니다.

    +2번문항 BIM 모델링과 3번문항 물량산출 부분은 이어지는 작업인데 성과물 제출을 모델링 끝나고 다른이름으로 한번 저장하고 그 파일을 이어서 작업을 수행하고 따로 물량산출 파일을 따로 저장하는 것일까요. 1번부터 5번까지 문항이 다 이어지기 때문에 중간중간 다른이름으로 저장하면서 작업을 이어나간다 치면 그런데 그렇게 되면 각각 문항의 BIM 원본모델이 같지 않을까 싶은데....
    잘 문제를 풀어놓고 제출 과정에서 감점이 되지 않기 위해 최대한 예상범위 내에 준비를 해가고 싶어서요...자세하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채재현 |(2022.11.22 19:16)

    안녕하세요. 채재현입니다.

     

    다음과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종단선형은 종단계획의 정보입니다.

    그리고 성토, 절토는 원지반과 종단계획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종단1, 종단2의 정보를 설계자가 만든 원지반 정보, 종단계획 정보를 서로 매칭해야 합니다.

     

    2. 정지작업은 온라인 강의 영상의 "24장 측량데이터, 형상선, 정지작업"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선형은 정지작업 횡단을 산출하기 위해 새롭게 만드는 작업입니다.

     

    3. 교재의 "교량터널구간"의 표준횡단은 협업을 위해 교량/터널 구간의 포장 솔리드 형상을 만들기 위해 작성한 표준횡단입니다. 이런 포장 솔리드는 Revit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시험에서는 도로/구조 분야를 나눠서 작업하기 때문에 온라인 강의 영상의 "7장 도로 영역 구분"에서 코리더 영역으로만 구분하시면 됩니다.

     

    4. Civil3D 2019와 2022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은 같습니다. 따라서 똑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5. 도로분야로 준비하신다면 Civil3D BIM 원본 파일을 단계별(1~5번)로 이름을 다르게 하여 저장하고 모두 제출하시면 될듯합니다.

첨부파일

목록